본문 바로가기

온유쌤의 수학 노트/수학사와 수학자9

[수학자] 아르키메데스(Archimedes)_헬레니즘 시대의 최고의 수학자 #부력의원리발견'유레카' #정확한원주율 #원뿔,구,원기둥부피의관계 #지렛대의원리 그리스 문명을 이어받으며 알렉산드리아 대학을 중심으로 절정기에 달한 헬레니즘 시대에서 배출된 유명한 수학자들이 있습니다. 부력의 원리를 발견하며 유레카를 외쳤던 아르키메데스, 이데아 사상을 수학으로 승화시킨 유클리드, 진리와 결혼한 최초의 여성 수학자 히파티아가 그들인데요. 그중 오늘은 헬레니즘 시대의 최고의 수학자 아르키메데스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알렉산드리아의 건설 먼저 아르키메데스가 살았던 헬레니즘 시대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알렉산더(알렉산드로스)는 마케도니아의 필리포스 왕 밑에서 태어났습니다. 필리포스는 자신의 뒤를 이을 알렉산더의 교육을 위해 당대 그리스의 유명 철학자들 중 아리스토텔레스를 선택합니다... 2023. 2. 19.
[수학자] 플라톤(Plato)_기하학을 사랑했던 철학자 #플라톤의 다면체 #기하학을 모르는 자 들어오지 마시오 #아카데미아학교 #이데아론 #다작러 플라톤(Platon, BC 428?~347?)은 소크라테스의 제자로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이자 교육자, 수학자입니다. 아테네에 학교 ‘아카데미아’를 세워 학생들을 가르쳤으며, 학교 현관에 “기하학을 모르는 자는 들어오지 마시오”라고 붙여 놓을 만큼 수학을 중시하고 사랑했습니다. 철학자 화이트헤드는 “서양의 철학사는 플라톤의 주석에 지나지 않는다.”라고 할 만큼 철학자 플라톤을 칭송했지요. 플라톤은 왜 수학을 중시했는지, 어떠한 철학적 사상을 가지고 있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플라톤은 수학자? 철학자? 플라톤은 아테네 최고의 정치 명문가에서 태어났습니다. 20세 때 소크라테스를 만났고, 끊임없이 진리와 정의를 찾는 소크.. 2023. 2. 17.
[수학자] 피타고라스(Pythagoras)_천재 수학자, 철학자, 천문학자, 음악가의 비밀 #만물의근원은수 #‘피타고라스의정리’증명법400개 #피타고라스학파는종교단체? #조화로운음계 #수론시작 오늘은 탈레스의 후계자인 피타고라스(Pythagoras, BC 582?~ 497?)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피타고라스에 대한 후대의 기록은 매우 단편적이면서 신화적입니다. 꼭꼭 감춰둔 신비주의자였기 때문에 기록이 많지 않은 걸까요? 천재 수학자이면서 철학자, 천문학자, 음악가였던 이 피타고라스는 비밀결사 종교단체의 지도자였습니다. 그리스 사모스섬에서 출생하여 방랑 생활을 했다고 전해집니다. 피타고라스는 이집트를 비롯한 여러 지방을 여행하며 지식을 두루 습득했다고 고대 문헌 기록에 나오는데, 여행에서 얻은 많은 지식과 경험이 그의 생각을 더 깊이 있고 심오하게 만들어 준 것이라고 추정됩니다. 피타고라스.. 2023. 2. 13.
[수학자] 탈레스(Thales)_ 논증 기하학, 철학의 아버지 #최초의 수학자 #만물의 근원은 물 #피라미드 높이계산은 식은죽먹기 #논증 기하학 오늘은 아테네의 최초의 수학자 탈레스(기원전 624년?~546년?)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 수학자, 천문학자 7현인(탈레스, 비아스, 피타코스, 클레오브로스, 솔론, 킬론, 페리안드로스) 중 한 명인 탈레스는 그리스의 합리적인 도시 밀레토스 출생으로 밀레토스 학파의 창시자입니다. 만물의 근원은 물이라고 생각하였으며, 수학 중 기하학분야에 뛰어난 업적을 남겼습니다. 어린시절의 탈레스 집안이 가난했던 탈레스는 가족의 생계를 위해 돈을 벌어야 했습니다. 상점에서 점원으로 일하면서 장사를 배우게 되었고, 소금과 올리브유 같은 생필품을 팔았던 상인이 되었습니다. 성실하고 총명했던 탈레스는 많은 돈을 벌.. 2023. 2. 10.
[수학사] 고대 그리스 수학_아테네와 수학자들 라파엘로의 16세기 르네상스 화가 라파엘로의 명작 (1510~1511)에는 그리스의 철학자 플라톤이 세운 최초의 학교 ‘아카데미아’의 수업 풍경이 나옵니다. 이 그림은 그리스의 저명한 수학자와 철학자가 모여있는 그림입니다. 이 모임의 중앙을 차지하고 인물들은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입니다. 책에 글을 쓰고 있는 피타고라스, 몸을 숙여 컴퍼스로 작도하는 유클리드가 보입니다. “점은 위치가 있는 단자이다.” , 피타고라스(pytagoras) “점은 쪼갤 수 없는 선이다.” , 플라톤(plato) “그 끝은 무엇인가?” , 아리스토텔레스(aristoteles) 기하학의 대성자, 유클리드(euclid)까지 유능한 수학자들이 그리스에서 탄생했는데요. 수학은 왜 그리스에서 발달했을까 무척 궁금해집니다. 이 질문을 찾.. 2023. 2. 10.
[수학사] 숫자의 발달_ 중국의 숫자와 수의 확장 중국에서의 수학 우리나라와 가까운 중국 또한 예부터 수학과 매우 친숙한 나라였습니다. 중국의 라는 8세기 중엽 당나라 시대의 작품이 있습니다. 이 작품에는 중국의 창조신화 두 주인공이 나옵니다. 수염을 기른 남자로 묘사된 복희, 입술 연지를 바른 여자로 묘사된 여와가 나오는데 이들의 손에 무언가가 들려져 있습니다. 복희는 직각자를, 여와는 컴퍼스를 들고 있는데 이는 우주는 수학적으로 설계되었다고 믿는 중국의 사고방식을 엿볼 수 있습니다. 중국에서는 어떻게 숫자를 사용했을까요? 어렸을 때 숫자 한자를 배울 때, 가로로 작대기를 그었던 기억이 있을 겁니다. 그리스와 고대 이집트처럼 세로로 막대기를 표시한 것과는 달리 중국은 1부터 4까지를 가로로 그었습니다. 또한 숫자 한자를 잘 기억해 보면 짝수 숫자에는 .. 2023. 2.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