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장 성분은 '~어'로 끝나는 말 vs. 품사는 '~사'로 끝나는 말
문장 성분
문장 성분을 찾을 때는 문장을 '어절'로 끊어주세요.
그 다음 '서술어'를 먼저 찾아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문장성분은 크게 주성분, 부속성분, 독립성분으로 나뉘며, 총 7개입니다.
주성분: 주어, 목적어, 보어, 서술어
부속성분: 관형어, 부사어
독립성분: 독립어
1. 주어: 서술어의 주체가 되는 성분입니다.
2. 목적어: 서술어의 대상이 됩니다.
3. 서술어: 주어의 특징이나 움직임을 나타냅니다.
예를들어, 동생이(주어)/밥을(목적어)/먹었다(서술어)
4. 보어: 되다/아니다 앞에서 보충해줍니다. (ex, 나는(주)/남자가(보)/아니다(서술어))
5. 관형어: 체언(명사, 대명사, 수사)을 수식합니다. (예쁜(관형어)/동생)
6. 부사어: 동사나 형용사의 내용을 수식하거나 한정하는 성분입니다. (ex, 빨리(부사어)/달린다(동사))
7. 독립어: 다른 문장성분과 관계 없이 독립적으로 쓰이는 성분입니다.
국어의 품사(9개) : 단어의 성질을 따라 분류
'관체조,부용' 으로 외우면 편합니다.
형언사 사언
사 (세로로 읽기)
: 관형사는 체언을 꾸미고, 조사는 체언 뒤에 붙습니다. 부사는 용언을 꾸며줍니다.
1. 관형사: 체언을 수식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2. 체언: 명사, 대명사, 수사
- 명사는 이름을 나타내고, 대명사는 대신 가리키는 역할을 합니다. 수사는 순서와 수량을 나타냅니다.
3. 조사: 관계를 나타내거나 의미를 더합니다. (격조사, 접속조사, 보조사) (-는, -을, -이/가, -에, -의, -와 등)
4. 부사: 주로 용언을 꾸며줍니다.
5. 용언: 동사와 형용사가 있습니다. 동사는 동작을, 형용사는 성질/상태를 나타냅니다.
구분을 위해 보통 'ㄴ다/는다' 가 뒤에 붙을 수 있는 것이 동사입니다. 먹는다(o) vs. 예쁜다(x)
6. 감탄사
9가지를 다시 정리해보면
관형사, 명사, 대명사, 수사, 조사, 부사, 동사, 형용사, 마지막 감탄사가 있습니다.
온유쌤의 검고 노트
댓글